References

https://coding-factory.tistory.com/739

 

개요

PC로 인터넷을 불러오는 도중 평소와 달리 연결이 되지 않을 때 이에 대한 원인 파악 과정으로 PING(Packet Internet Grouper)이 있다.

PING은 보내는 대상 컴퓨터를 향해 일정 크기의 packet을 보낸 후 대상 컴퓨터가 이에 대해 응답하는 **메시지(ICMP echo reply)**를 보내면 이를 수신, 분석하여 대상 컴퓨터가 작동하는지, 또는 대상 컴퓨터까지 도달하는 네트워크 상태는 어떠한지를 알 수 있다.

 

연결 테스트

cmd 관리자 모드를 통해 기본 게이트웨이의 공유기 아이피 주소를 파악한다.

C:\\Users\\...>ipconfig

Windows IP 구성

연결별 DNS 접미사. . . . :
링크-로컬 IPv6 주소 . . . . : [ipv6 주소]
IPv4 주소 . . . . . . . . . : [ipv4 주소]
서브넷 마스크 . . . . . . . : [서브넷 마스크 주소]
기본 게이트웨이 . . . . . .  : [공유기 아이피 주소]

공유기 아이피 주소를 통해 ping 테스트를 진행한다.

// 본인 PC가 아니어도 외부 IP의 ping 테스트 또한 가능하다
C:\\Users\\...>ping [공유기 아이피 주소]

Ping [공유기 아이피 주소] 32바이트 데이터 사용:
[공유기 아이피 주소]의 응답 : 바이트=32 시간=2ms TTL=64
[공유기 아이피 주소]의 응답 : 바이트=32 시간=2ms TTL=64
[공유기 아이피 주소]의 응답 : 바이트=32 시간=4ms TTL=64
[공유기 아이피 주소]의 응답 : 바이트=32 시간=2ms TTL=64

[공유기 아이피 주소]에 대한 Ping 통계:
	패킷 : 보냄 = 4, 받음 = 4, 손실 = 0 (0% 손실),
왕복 시간(밀리초):
	최소 = 2ms, 최대 = 4ms, 평균 = 2ms

여기서 Ping 통계 부분을 참조하여 패킷 손실이 없는 지 확인 후 왕복 시간(밀리초) 부분 또한 참조하여 평소보다 응답속도가 느리지 않은지 확인한다.

'Self-Study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RabbitMQ] rabbitmq의 기본 개념  (0) 2022.07.05
[Database] snapshot  (0) 2022.07.05
[Network] SSE  (0) 2022.07.05
[Embedded] watch dog  (0) 2022.07.05
[NodeJS] stream  (0) 2022.07.05